언론보도

언론에 보도된 나눔 소식을 알려드립니다.

[오디오뉴스] 보건복지부, 지난 8월 인천, 울산, 충북, 전북 청년미래센터 개소

2024-10-10 IBK행복나눔재단 조회수 : 30

알면 보이는 복지혜택 (2024. 8.29.)

한정재(사단법인 그린라이트 상임이사)

보건복지부가 지난 8월 인천, 울산, 충북, 전북 4개소에 청년미래센터를 개소하였습니다. 청년미래센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질문 1: 청년미래센터의 역할은 무엇인가요?

청년미래센터는 지역사회 내 가족돌봄*, 고립·은둔청년**을 전담으로 지원하는 기관이다. 센터당 14명의 전문인력들이 신규 배치되어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을 발굴하고, 취약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립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밀착 사례관리한다.

* 가족돌봄청년 : 아픈 가족에 대한 돌봄책임을 전담하고 있는 13~34세 청(소)년

** 고립·은둔청년 : 힘들 때 기댈 사람이 없거나, 집 또는 방에서 나오지 않는 19~39세 청년

4개 광역시·도 내 가족돌봄, 고립·은둔청년은 온라인 홈폐이지를 통해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(www.mohw2030.co.kr), 홈페이지는 복지종합포털인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배너를 통해서도 접속할 수 있다. 도움을 희망하는 청년들은 필요한 경우 거주지 인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나 청년미래센터에 직접 방문해서도 상담 및 지원 신청

질문 2: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지원은 어떻게 진행되나요?

이전까지 학교나 병원 등에서 가족돌봄청(소)년을 발견하더라도 어디로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막막했다면, 이제는 청년미래센터에서 가족돌봄청(소)년을 발굴하고, 자립 시까지 책임지고 지속해서 밀착 관리한다.

먼저 지역 내 중·고교, 대학, 주요 병원 등과 핫라인을 구축하여 가족돌봄청(소)년 상시 발굴체계를 마련한다.

전문인력은 상담을 통해 ①아픈 가족 유무, ②아픈 가족과 동거 여부, ③가족 내 다른 장년 가구원이 없어 청년이 돌봄을 전담 여부, 세 가지 기본요건을 확인하면 전담 지원 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하고, 밀착 사례관리를 제공한다.

질문 3: 밀착사례관리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?

①아픈 가족을 위해서는 장기요양서비스,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등 각종 돌봄·의료서비스와 함께 일상돌봄서비스 등 생활지원서비스를 연계하여 청년의 가족 돌봄부담을 덜어준다. ②청년 당사자에게는 민·관 장학금 등을 우선적으로 연계하는 한편, 이들 중 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인 경우를 선별하여 연 최대 200만 원의 자기돌봄비도 지원한다.

전문인력은 청년의 적성, 대학 전공, 진로 희망, 취업 방향 등 상담을 통해 청년들 스스로 미래계획(자기돌봄계획)을 수립하도록 하고, 계획상 목표에 맞게 자기돌봄비가 적정히 사용되도록 매달 용처를 확인하고 관리한다. 이 외에도 각종 법률상담, 주거 지원 사업, 일자리 사업 등 청년의 성장에 필요한 서비스들을 종합 연계한다.

질문 4: 고립은둔청년에 대한 지원도 제공되죠?

청년미래센터에서는 온·오프라인을 통해 도움을 요청한 청년에 대해 초기상담을 실시한다. 상담 결과 고립 위험 등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문인력은 청년의 프로그램 참여 의지, 고립도 수준 등을 고려하여 지원계획을 수립하고, 자조모임·일상회복·공동생활 합숙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·제공한다.

청년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가족에 대해서도 소통교육, 심리상담, 자조모임 등 서비스를 제공하며, 청년과 가족이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.

질문 5: 맞춤형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떤것인가요?



질문 6: 청년미래센터의 서비스를 이용할 취약청년발굴의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?

청년 개개인의 성장,회복을 목표로, 청년미래센터에서는 자체적으로 운영·제공하는 사례관리 및 맞춤형 프로그램 외에도 취업·학업 정보, 민간의 장학사업 등 다양한 민·관 자원을 청년들에게 연계한다.

이번 시범사업 대상자로 선정된 청년들에게는 월드비전*, IBK 기업은행 행복나눔재단** 등 민간기관들의 자체 사업도 연계될 예정이다. 보건복지부는 향후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을 폭넓게 발굴·지원하기 위해 다른 민간기관들과도 협업 관계를 지속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.

* 월드비전 가족돌봄청(소)년 통합지원사업 : (통합지원)생계비·주거비·돌봄비·교육비 등, (심리지원)자조모임

** IBK희망나래 사업 : 다문화가족 자녀, 자립준비청년, 고립·은둔청년, 가족돌봄청년에게 취업·학업 지원 프로그램 및 생활비, 장학금 등 지원

질문 7: 청년미래센터 이용할 청년들 어디로 연락하면 될까요?

* 청년미래센터 운영기관 :

(인천 미추홀구) 인천사회서비스원, 032-874-7700

(울산 중구) 울산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, 052-243-3400

(전북 전주시) 전북사회서비스원, 043-270-0281

(충북 청주시) 충북기업진흥원 063-901-1339

전화번호가 어려우실때는 보건복지상담센터 129

네. 오늘은 청년미래센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 

-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(ablenews.co.kr)-

-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@ablenews.co.kr- 

출처 : https://www.able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15516